고가 시대, 여가 문화의 변화

고가 시대, 여가 문화의 변화

문화체육관광부가 12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평균 여가 시간은 전년 대비 12분 증가했지만, 여가 활동에 대한 월 평균 지출은 1만 4천 원(약 9달러, 60센트) 감소했습니다. 사람들이 자유 시간이 더 많아졌다고 해서 반드시 문화 체험에 더 많은 돈을 쓰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가 그 예입니다.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작년에 극장에서 영화를 본 총 관객 수는 전년 대비 200만 명이 감소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티켓 가격이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영화를 보는 데 관심을 잃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OTT(Over-The-Top) 스트리밍 구독이 그 결과 증가했습니다. 작년 말 방송통신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8명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금 더 기다려도 괜찮다면,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같은 영화를 볼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좋은 일입니다.
책도 비슷한 패턴을 따릅니다. 많은 전통 서점이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거나 문을 닫았지만, 중고 서점과 공공 도서관은 이용자가 증가했습니다.

사람들이 더 저렴한 옵션을 찾고 있지만, 서점이 문을 닫는 것도 안타까운 일입니다.

영화와 독서 이외의 다른 문화 활동은 어떨까요?

새해가 시작되면 많은 사람이 피트니스 목표를 세웁니다. 그러나 가격이 오르면서 사람들은 헬스장에 가입하는 대신 비용 효율적인 운동 방법을 선택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사이에서 달리기는 매우 인기가 있었고, 전국적으로 달리기 팀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장거리 달리기에 필요한 러닝화와 운동복 가격이 오르면서 새로운 트렌드가 등장했습니다. 걷기는 훨씬 적은 장비가 필요합니다. 당연히 걷기에는 운동화 한 켤레만 있으면 됩니다.

예술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전시회와 콘서트의 조기 할인 티켓에 대한 수요가 높습니다. 심지어 약간의 할인이라도 티켓이 매진되기 전에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클릭하여 자리를 확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재정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좋아하는 여가 활동을 계속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중고 시장이 등장합니다.

Karrot Market과 같은 플랫폼은 최근 몇 년 동안 엄청난 성장을 보였습니다. 지속적인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새 상품보다 중고품을 사는 것을 선호합니다.
악기, 카메라, 자전거와 같은 여가 활동과 관련된 품목이 이러한 플랫폼에서 자주 거래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사람들은 훨씬 낮은 비용으로 취미를 즐길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적응하고 있는 또 다른 현명한 방법은 구독 서비스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독”이라는 말을 들으면 스트리밍 플랫폼을 떠올리지만 그 개념은 그 이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Millie’s Library와 같은 전자책 구독과 가전제품 구독 서비스가 있습니다. 작년에 도입된 특히 흥미로운 서비스 중 하나는 세종문화회관의 구독 프로그램입니다. 국내 공연장 최초로 구독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구독자는 세종 시즌 모든 공연에서 40% 할인을 받고 사전 티켓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기가 너무 많아서 매년 첫날에 모든 구독(2023년에는 500개, 2024년에는 1,000개)이 매진되었습니다.

구독 서비스는 잘 활용하는 방법을 안다면 좋습니다. OTT 플랫폼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교육 플랫폼에 구독하여 한 번의 구독으로 모든 종류의 것을 배웁니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여가 활동을 감당할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2025년 소비 지출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지출이 가장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은 여행, 외식, 숙박(17.6%)입니다. 하지만 여행을 완전히 포기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 정부는 3월부터 비수도권에 최대 3만원 상당의 숙박 쿠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여행 플랫폼을 통해 선착순으로 제공되므로 여행에 관심이 있지만 여행 경비로 인해 주저하고 있다면 꼭 확인해 보세요.

또한 한국의 “문화의 날”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매월 마지막 수요일이나 그 주에 영화관, 박물관, 미술관, 심지어 스포츠 시설과 같은 2,000개가 넘는 문화 시설에서 무료 또는 할인된 입장료를 제공합니다. 사람들은 확실히 이를 활용해야 합니다.

yaeltaiwan
Author: SK New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